“ 누가 길을 묻거든 눈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 “ — 정희성, <여기 타오르는 빛의 성전이>
이름 |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 |
---|---|
위치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관악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연건캠퍼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평창대로 1447(평창캠퍼스)[2] 그외 |
구분 | 국립대학법인[3] |
교목 | 느티나무 |
개교일 | 1946년 8월 22일[4] |
면적(m²) | 4,736,629[5][6] |
상징동물 | 백학 |
표어 | VERITAS LUX MEA (진리는 나의 빛) |
네트워크 대역 | (NET-SNU) 147.46.0.0 /16, 147.47.0.0 /16 |
서울대학교 대부분의 단과대들이 위치한 곳이며, 서울대 하면 떠오르는 ‘샤’ 모양 대문이 있는 제일 대표적인 캠퍼스이다. 서울대 견학하고 싶으면 평창캠퍼스 같은데 가서 낭패 보지 말고 관악캠퍼스로 가면된다.
전국 캠퍼스 면적 1위답게 미친듯이 넓다.[7][8] 캠퍼스 부지의 총 면적은 432만 m2이며(모든 캠퍼스 총합), 학술수목원[9]등 기타 학교에 귀속된 부지까지 다 포함하면 793만 m2까지 올라간다. 건물 수는 200개가 넘는다. 연세대학교 신촌캠(85만 m2)과 원주캠(159만 m2)을 합쳐야 겨우 절반이나 따라간다.
윗공대 순환도로의 총 길이는 약 5.25km이며, 최저점과 최고점의 표고차(…)는 200m정도 된다. 정문에서 윗공대까지 안쉬고 걸어 올라가면 30~40분 전후로 소요된다. 1시간 30분(…)이 걸린다는 말도 있지만 약간 과장이 들어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 걸어보면 그런 루머가 나올 만 하다는 정도라는 사실만큼은 확실히 인정하게 된다(…) 학부생들이나 대학원생들 중 러닝덕후들은 순환도로를 조깅코스로 삼는데 어느 정도 지형에 숙달되면[10] 한 바퀴 도는데 약 23~25분정도가 소요된다.[11]
서울대입구역에서 서울대 정문을 통해 들어가는 방향이 특히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처음 오는 사람들이라면 서울대입구역에서 내리면 ‘기껏해야 10분정도 걸리겠지…’라고 방심하기 마련인데, 어떤 방법으로 가도 평균 30분이 걸린다.[15] 특히 출퇴근 시간에 수많은 교직원, 학생들과 반대로 다른 곳으로 출퇴근 하는 직장인들로 인한 헬게이트가 열린다. 5~7시 사이의 퇴근시간에 새실고개(서울대고개)~서울대입구역 방면을 보고 있자면 뭐라도 뚫어버리고 싶은 충동이 생긴다.
낙성대에서 꿀을 빨 것이라 생각하고 관악02를 타려고 꼼수 부려본 학생들이 오징어쭈꾸미까지 줄이 이어진 거 보고 좌절하는 경우가 많다더라.[16]
과천캠퍼스에서 탈출한[17]관악캠퍼스 제일 꼭대기에 위치한 해발 200m의 공대이다. 순환도로 최고 지점은 해발 262m로 해발 66m인 정문보다 196m 더 높다.[18] 가보려 하지말자. 아니 솔직히 가볼 필요가 없다. 왜냐고? 기항과, 전기과, 컴공과, 화공과가 모두 몰려 있는 사실상 공대 액기스이기 때문에 가면 남고/군대 수준의 남자 비율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멀다. 무지막지하게 멀다. 정문에서 윗공대까지 단순 길이가 대략 2km 이상이고, 비선형 길 + 해발고도 감안하면 등산 한다고 생각하는 게 편할 것이다.
아무도 찾지 않는 공대생들을 아래에 두고 인문대, 사회대를 위에 두었다면 매우 건강한 순환이 이루어졌겠지만 캠퍼스 이전하면서 중구난방식으로 지어진 역사 덕분에 불쌍한 공대생들 위에 가서 내려오지도 못하게 만들어두었다. 이처럼 불쌍한 공대생 더 불쌍하게 만드는 최적의 입지조건 덕분에 놀림거리로 자주 사용된다.
본래 이곳(대학로, 혜화)에 서울대학교 본교가 있었으나, 1975년 군사정권의 탄압[20]으로 현재의 관악캠퍼스로 대부분의 단과대학이 이전하였다. 2015년 연건캠퍼스에는 의과대학과 간호대학, 치과대학이 있다.
2018년 배곧신도시에 개교 예정인 20만평(…)의 캠퍼스이다. 부지면적으로 최소 세손가락 안에 드는 관악캠퍼스의 약 2/3정도 되는 이 넓은 땅덩어리를 어디다 쓸까 싶은 생각이 들 텐데 없다. 정말로.
사람들이 대충 예상하는 결과는 연세대학교의 송도캠퍼스 같은 RC(Residence College)형 기숙사유배지이다. RC는 대충 설명하자면 학생들이 기숙사에서 살며 수업을 듣는 ‘기숙형 대학인’인데, 기숙사로 신입생을 보내느냐 재학생을 보내느냐, 의무로 하느냐 자율로 하느냐에 따라 그 방법이 갈린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배곧신도시에서 서울 본 캠퍼스인 관악캠퍼스까지 고속도로가 뚫린다 해도 막히지 않는다고 가정했을 때 최소 40분인지라, 자율로 하면 아무도 갈리가 없다. 그리고 의무로 했을 때 신입생이 가게 되면 유배지(…)에다가[21] 무엇보다도 문제인 건 교내행사[22]나 동아리와 같은 신입생이 꼭 필요한 것들이 마비되게 된다. 재학생이 가게 되면 관악캠퍼스에서도 수업을 들어야 되므로 시흥캠퍼스에서 관악캠퍼스를 왕복해야 되는 끔찍한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일부 단과대 혹은 학부만 옮기는 점에 대해선 서울 밖으로 나간다는 상황에서 인서울을 중시하는 우리나라헬조센 특성상 의도하진 않았지만 원세대, 세려대와 같은 분교처럼 될 가능성이 있다.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가 했던 것처럼 옮겨도 딱히 타격이 없는 의대를 생각해볼 수도 있는데, 서울대학교는 이미 연건캠퍼스에 의대랑 간호대가 따로 있기 때문에 무리다. 그럼 남은 방법은 all기숙사[23]혹은 국제대학원인데, all기숙사는 교육기관이 없으므로 계약위반에다가 본 캠퍼스에서 1시간 정도 걸리는 거리 때문에 매우 싸게 운영하거나 의무로 하지 않는 이상 아무도 안 갈 것이고, 국제캠퍼스는 서울대학교가 외국인들이 넘쳐나는 학교도 아니고 20만평이나 되는 부지를 전부 사용해 국제캠퍼스를 만들 역량이 되는가가 문제이다.
문제는 어차피 현재 학교 다니는 학부생, 대학원생들에겐 먼 얘기[24]라서 그런지 전혀 관심이 없다. 어차피 방치시켜두면 18년부터 입학하는 신입생들만 피해 볼 것이 뻔해서 그런 것 같다.[25]
대표적인 예로 2013년 총장이 맨 처음 시흥캠퍼스를 만든다고 했을 때, 55대 총학생회에서 반발해 삭발식과 단식을 하고 천막농성을 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였으나 정작 이를 통해 얻어낸 계약 체결 전 시흥캠퍼스에 대한 학생 총투표가 30%에 달하는 끔찍한 투표율로 무산되게 되었다.[26] 그 후에 56대 총학생회에서 시흥캠퍼스에 대한 학생들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세움단이라는 부서를 만들어 사람들의 관심은 없었지만 활동을 계속 해왔으나, 어처구니없게도 56대 총학생회의 학생회장이 학고로 탈주하는 바람에(…) 무산되어 버렸다.[27] 실제로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게 이를 물어보면 자세히 알고 있지 못하는 사람들이 태반이다.
결론을 말하자면 노답이다. 본부는 자기 멋대로 처리 중이고 학생들은 관심도 없고…
서울대학교의 유일한 학내 커뮤니티이다. 보통 ‘스랖’이라 줄여 말하고 스누라이프 하는 사람들을 ‘스랖퍼’라고 하기도 한다. 외부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교내에서 이미지가 매우 안 좋다. ‘서울대의 일베’라는 말이 있을 정도. 서로의 주장이 너무 강해 키배 그리고 그에 따른 어그로와 분탕이 자주 일어난다는 의견이 있고 또한, 타진요의 실제 본거지이기도 했다.
그래도 유일한 커뮤니티이다 보니 어떤 사건이 일어나면 제일 먼저 공론화되는 곳 중 한 곳이 스누라이프이고 그렇다보니 서울대학교 출신 기자가 스누라이프에 24시간 상주해 있다고 한다. 실제로 2014년에 말 많았던 성추행 관련 사건이 맨 처음 공론화된 곳이 스누라이프이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 중 하나가 서울대의 기원에 대한 부분인데, 본부의 공식적인 입장에 따르면 서울대의 기원은 1895년 4월 19일 설립된 ‘법관양성소’이다.[28] 이유는 이 교육기관이 서울대 법대의 기원이기 때문이라 한다. 이러한 주장은 70년 이하의 짧은 역사, 그리고 경성제국대학을 토대로 출발했다는 사실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기 때문에 총동창회에서 서울대 120년사 편찬을 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이에 서울대 인문·사회·자연 대의 일부 교수들이 이에 반발하면서 논란이 불거지게 되었다.
결국 총동창회는 서울대 120년사가 아닌 서울대 60년사를 편찬하게 되었고[29] 서울대학교의 역사에서 볼 수 있듯이 개교일까지 정정하진 못하고 기원을 바꾸는 것으로 만족했다.정신승리같이 보이는 건 어쩔 수 없는거다.
그런데 약학 대학은 서울대 학교 공식 입장과는 다르게 이번 2015년 6월 12일에 개교 100주년 기념식을 했다. 분명 작년 10월에 서울대학교 68주년 기념식을 했던 거 같은데…단과대랑 본학교랑 따로 노는 국내 1위 대학 수준[30]
하도 정치인들이 많이 구속되는 일이 많은데다 정치인들 중 서울대 출신들이 워낙에 많다 보니, 농담조로 서울대학교를 두고 ‘동문들이 교도소에 가장 많이 간 대학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대학 | |
---|---|
교육대학 | |
특수대학 | |
대학원대학 | |
전문대학 | |
경찰/사관 | |
원격대학 | |
기타 특수목적대학 | |
굵은 글씨는 지방거점국립대학교 |
국립 | |
---|---|
공립 | |
사립 | |
전문대학 | |